우리동역사

  1. HOME
  2. 우리동소개
  3. 우리동역사

지명 유래

[정자동(亭子洞)]
이 지역이 조선 중기 이후 왕족인 전주이씨의 세거지가 되면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제 9대 임금 성종의 아들(12남) 무산군(茂山君)의 제 5자인 태안군(泰安君) 이팽수(李彭壽)[1490~1525]의 묘역과 그 자손들이 터를 잡았다. 태안군의 증손이 되는 이경인(李敬仁)[1575~1642]은 이천부사겸 광주병마진관 등을 역임하였는데 병자호란의 치욕을 부끄럽게 여겨 벼슬을 내놓고 이곳 탄천 변에 내려와 정자를 짓고 한운야학(閑雲野鶴)으로 소일하였다. 그 후 그가 즐기던 '정자가 있는 마을'란 뜻의 '정자리'가 되었다.

동의 유래

정자동(亭子洞)의 이름은 조선중기에 이천부사 겸 광주병마진관 등을 역임한 이경인(李敬仁, 1575~1642)이 '정자'를 짓고 학문에 전념한데서 유래한다. 이경인은 자를 극보(克甫), 호를 정촌(亭村)이라 하였고, 1642년 (인조2) 이괄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워 원종공신이 되고 함흥판관, 안산현감, 이천도호부사에 제수되었다. 그는 병자호란의 치욕을 부끄럽게 여겨 벼 슬을 내놓고 이곳 탄천변에 내려와 정자를 짓고 한운야학(閑雲野鶴)으로 소일하였다. 그후 그가 즐기던 '정자가 있는 마을'이라 하여 정자리(亭子里)로 부르게 되었고 그의 호 ‘정촌’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 또는 정자나무가 있어서 정자말, 정자골, 정자동이라 하였다고 한다.

동의 연혁

정자동은 조선시대에 광주군 돌마면 정자리에 속한 지역이었다. 1971년 9월 13일 광주군에서 성남출장소가 분리·독립하면서 돌마면 정자리에 속하였고, 1975년 3월 17일 성남시 돌마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89년 5월 1일 성남시 중원구에 편입되었다가 1991년 9월 17일 분당출장소가 분당구로 승격될 때 정자동에 속하였다. 1996년 1월 15일 분당구 정자동과 금곡동 일부를 나누어 행정동인 신기동을 신설하였으며 그전 법정동인 정자동, 금곡동의 각 일부에 걸쳐 있었으나 법정동간 경계조정으로 현재 법정동은 정자동이며, 행정동은 2001년 1월 1일 성남시조례 1733호에 의거 신기동에서 정자1동이 되었다. 2015년 5월 1일 분동으로 정자1동에서 정자동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