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의 정의
-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 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을 말한다.(식품위생법 제2조제14항)
- "집단식중독"이란 2명 이상의 사람이 동일한 식품을 섭취한것과 관련되어 유사한 식중독 양상을 나타내는 것(WHO, Fofdborne Disease Outbreaks Guidelines for Investigation and Control, 2008)
식중독의 분류
※ 좌우로 화면을 이동하여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분류 | 종류 | 원인균 및 물질 | |
---|---|---|---|
미생물식중독 (30종) |
세균성(18종) | 감염형 |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콜레라, 비브리오 불니피쿠스,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네스, 병원성대장균(EPEC, EHEC, EIEC, ETEC, EAEC), 바실러스 세레우스, 쉬겔라, 여시니아 엔테로콜리티카, 캠필로박터 제주니, 캠필로박터 콜리 |
독소형 | 황색포도상구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 | ||
바이러스성
(7종) |
- | 노로, 로타, 아스트로, 장관아데노, A형간염, E형간염, 사포 바이러스 | |
원충성(5종) | - | 이질아메바, 람블편모충, 작은와포자충, 원포자충, 쿠도아 | |
자연독 식중독 | 동물성 | 복어독, 시가테라독 | |
식물성 | 감자독, 원추리, 여로 등 | ||
곰팡이 | 황변미독, 맥각독, 아플라톡신 등 | ||
화학적 식중독 | 고의 또는 오용으로 첨가되는 유해물질 |
식품첨가물 | |
본의 아니게 잔류, 혼입되는 유해물질 |
잔류농약, 유해성 금속화합물 | ||
제조·가공·저장 중에 생성되는 유해물질 |
지질의 산화생성물, 니트로아민 | ||
기타물질에 의한 중독 |
메탄올 등 | ||
조리기구·포장에 의한 중독 |
녹청(구리), 납, 비소 등 |
담당 부서
- 부서명 위생안전과 식품위생팀
- 전화번호 031) 729-7303